2021년 9월 28일 신대원 강의안
2021년 9월 28일 신대원 강의안
EFFECTIVE EXPOSITORY PREACHING
강해 설교 강의안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DIVINITY
IN CANDIDACY FOR THE DEGREE OF
DOCTOR OF MINISTRY
REGENT UNIVERSITY
BY
NO HUN CHUNG
교수: 정노훈 목사
섬김의 교회 담임
부산 대학교 졸
고신대학원 졸
리젠트 대학 목회학 박사
VIRGINIA BEACH, VIRGINIA
FEBRUARY 2006
강해 설교 논문 전체 조감도
1. 강해
2. 강해
3.본문 연구(본문 분석)
4.강해 설교 구성론
1) 본문 중심 진리(본문( 요약)
2) 주제(subject) 설정
3) 테마(theme) 설정
4) 설교 명제(proposition) 만들기
5) 설교의 목적 만들기
6) 질문제기
7) 중심 단어: 관찰들
8) 전환 문장
9) 대지 만들기
10) 소지(S.A.V.E.
①요지를 주장하라(State).: 대지
②요지를 본문과 연결시키라(Anchor).:(Anchor).: 성경 구절
③요지를 증명하라(Validate).: 설명
④요지를 설명하라(Explain).: 예화
⑤요지를 적용하라(apply).
11) 제목 선택
12) 결론 만들기(Making the Conclusion of the Preaching)
첫째, 재구성 부분, (명제)
둘째, 적용 부분, (설교의 목적).
셋째, 초청 부분
13) 서론 만들기(Making the introduction of the Preaching)
(1) 관심을 집중시키는 부분
(2) 본문 부분: (중심진리).
(3) 관련짓는 부분: (명제). (설교의 목적). (질문 제기)질문제기)
5. 설교 전달 (Delivery the Preaching)
전달 요소
메시지
전달에 있어서의 실패 이유
단어 선택의 문제(또는 표현 문제)
설교 전달 유형
음성 사용 문제
(7) 설교 전달 유형
(8) 열정(Enthusiasm)
(9) 예화
(10) 적용(Application)
(11) 유머(Humor)
(12) 상상(Imagination)
(13) 이야기(narrative)
설교학
루터(Ruther)는 “그리스도인과 교회의 건강이 하나님의 말씀에 달려 있으므로 하나님 말씀을 가르치고 설교하는 것은 거룩한 봉사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모든 감독과 목사, 설교자의 가장 고상하고 유일한 의무요 책임이다.”라고 했다.
“로이드 존스는 설교의 중요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내게는 설교하는 일이야말로 사람이 누릴 수 있는 가장 지고하고 가장 위대하고 가장 영광스러운 소명이다. 알렉산더 화이트(Alexander White)가 낙담해 있는 한 감리교 목사에게 설교를 포기할 생각일랑 결코 하지 마시오. 하나님 보좌에 둘러서 있는 천사들이 당신의 그 위대한 일 때문에 당신을 부러워하고 있소 라고 충고했다. 포사이드(P. T. Forside) 는 나는 감히 기독교는 설교와 함께 흥하거나 설교와 함께 망한다고 생각한다.”
카이저(Walter Kaiser)는 “세계 도처에서 그리스도의 교회가 건강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는 것은 더 이상 비밀이 아니다. 늘 형편없는 음식에다 온갖 방부제가 섞인 대용식만 먹다 보니 영양실조에 걸리고 말았다. 그 결과, 발암 물질이 들어 있거나 신체에 해로운 음식을 섭취함으로 신체 건강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과 진보를 이룩했던 바로 그 세대를 신학적, 성경적 영양실조가 괴롭히고 있다. 진정한 하나님 말씀의 선포의 부재에서 연유한 전 세계적 영적 기근(암 8:11)은(암8:11)은 세계 곳곳에서 여전히 날뛰며 있으며 쇠퇴하는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라고. 역설하고 있다. 맥아드(John MacArthur, Jr)는 해결책은 강해 설교이다.”라고 단언한다.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는 블래우드의 설교에 대한 정의 하기를 인격을 통한 진리 전달임을 염두하면서 날마다 설교자는 신앙 인격을 함양하는 일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라고 역설했다.
강해 설교의 정의
로빈슨에 의하면 강해 설교는 본문을 문맥에 비춰 역사적, 문법적으로 해석하고, 성령의 인도 아래 연구한 결과를 성령께서 먼저 설교자의 삶에 적용하고, 그다음 그를 통해 그의 청중에게 적용하는 성경적 진리의 제시이다.
세 가지 주요 단어
“ 강해 설교는 세 가지 주요 단어, 귀납적, 석의 적, 강해 적이란 말로 요약될 수 있다. 강해 설교는 귀납적이다. 그것은 본문이 의미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문이 스스로 말하도록 본문을 다루는 것이다. 이것은 미리 어떤 생각을 가지고 본문을 읽는 연역 방식의 반대이다. 연역적인 방식은 때로 정당할 수 있으나, 그런 방식을 사용하기 전에 본문이 그런 생각을 옹호하는지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
강해 설교는 석의 적이다. 강해 설교자는 본문을 설교하기 전에 그 본문을 연구해야 한다. 그것은 합당한 해석학적, 석의 적 원리와 실천을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강해 설교자는 진리의 말씀을 정확히 다루는 사람으로 알려져야 한다(딤후2:15).
강해 설교는 강해 적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귀납적으로 접근하고 석의 적으로 연구하며 청중에게 강해 적으로 설명한다. 강해 설교는 본문의 어려운 부분을 명확하게 하려고 한다. 그것은 말씀을 열고 불분명한 의미를 드러내고 적용을 제시한다. 항상 본문으로부터 설교하고, 마음에서부터 설교하고, 변화된 삶을 위해 설교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
강해 설교가 아닌 것
강해 설교가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한 가지 방법은 강해 설교가 아닌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길이다. 강해 설교는 통일성, 아우트라인, 그리고 분명한 방향이 없이 단어 하나하나, 구절 하나하나를 일일이 주석하는 것이 아니다.
강해 설교는 본문에 대한 철저한 석의와 논리적인 배열이 없이 산만하게 주를 달거나, 즉석에서 떠오르는 생각을 나누는 것이 아니다.
강해 설교는 깊이 있고 폭넓은 (본문 연구) 없이, 단지 본문의 피상적인 의미에 기초한 상호 연관 없는 제안이나 주장들을 모아놓은 것이 아니다. 강해 설교는 단순한 석의가 아니다. 아무리 그 석의가 학적으로 적합하다 할지라도 설교의 주제, 아우트라인 그리고 주제의 발전이 없으면, 그것은 강해 설교가 아니다.
강해 설교는 똑같이 중요한 다른 부분은 생략한 채, 본문 가운데 특정한 부분만을 사용하는 제목 설교가 아니다.
강해 설교는 주석서에서 발견한 문법적 사실이나 인용구를 수집해 놓은 것이 아니다. 이런 요소들은 메시지 속으로 녹아들어 가야 한다.
강해 설교는 설교 적 구조와 수사학적 요소가 없는 주일학교 공과 타입의 강론이 아니다.
강해 설교는 절 절이 이어지는 주석에다, 산만한 언급 그리고 서로 상관없는 제안과 개인적인 생각이 합쳐져서 나오는 경건의 시간 혹은 기도회의 담화가 아니다. 그것은 본문의 석의 적, 문맥적인 연구와 설교의 설득적인 요소가 결여되어 있다.
강해 설교 유익
“ 강해 설교는 설교의 내용과 스타일에 있어 성경적 설교에 가장 가깝다. 이것이 강해 설교의 최대의 이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밖에 여러 이점을 로빈슨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강해 설교는 설교의 성경적 목적(하나님의 메시지 전달)을 가장 잘 성취한다. 강해 설교는 설교가 성경의 권위를 지니게 한다. 강해 설교는 하나님의 말씀을 높인다. 강해 설교는 설교 자료의 보고를 제공한다. 강해 설교는 목회자를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사람으로 이끈다. 강해 설교는 양 떼들의 성경 지식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이끈다.
강해 설교는 성경적으로 생각하고 살도록 인도한다. 강해 설교는 설교의 깊이와 넓이를 조장한다. 강해 설교는 해석하기 어려운 본문을 다루게 한다. 강해 설교는 폭넓은 신학적 주제를 다루도록 한다. 강해 설교는 설교자로 하여금 틀에 박힌 설교에서 탈피하게 한다. 강해 설교는 인간적인 주장의 삽입을 예방한다.
강해 설교는 성경 본문을 잘못 해석하지 않도록 보호해 준다. 강해 설교는 그리스도와 사도의 설교를 따르게 한다. 강해 설교는 설교자의 최선을 이끌어낸다. 강해 설교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설교자를 성숙시킨다. 성경을 연구하다 보면 성령은 설교자의 삶을 조명한다. 설교자가 설교를 준비할 때 하나님은 설교자를 준비시킨다. ”
“Alexander Mc Laren은 날마다 성경을 연구하다가 오늘의 자신이 되었다고 했다.
P.T. Forsyth는 “성경은 설교자에게 최고의 설교자라고 했다.”
스타트(John Stott)는 강해 설교의 유익 4가지를 들고 있다. “강해 설교는 설교의 한계를 분명히 설정해 준다. 왜냐하면, 강해 설교는 그 범위를 본문에 국한 시키기 때문이다.
그것은 본문에 대한 충실성을 요구한다. 강해 설교는 원저자(Original Author)가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를 밝혀서 현대의 청중에게 전하는 것이다.
그것은 설교자가 피해야 할 함정을 보여준다. 스타트에 의하면, 설교자가 피해야 할 함정으로는 설교를 해 나가면서 본문에서 일탈해 자신의 생각을 따라가는 것과 본문에서 벗어나지는 않되 본문의 의미와는 다른 설교를 하는 것이다(Disloyalty). 그것은 설교자에게 확신을 준다.
” 보이스(Greer Boyce)는 강력하게 주장한다. 성경의 강해는 설교의 본질이다. 강해 설교를 설교의 여러 방식 중 하나로 이야기하는 것은 심각한 오류이다. 혹은, 많은 보수주의자들이 하고 있듯이, 강해 설교가 설교 방식 중 가장 좋은 유형이라고 말하는 것도 만족스럽지 못하다. 모든 설교는 강해 적이어야 한다. 강해 설교만이 성경적 설교가 될 수 있다. "
장두만은 강해 설교의 유익 7곱 가지를 말한다. “ 첫째, 강해 설교는 설교에 신적 권위를 부여한다. 둘째, 강해 설교는 설교 자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 전체를 설교하게 한다. 셋째, 강해 설교를 하면 설교의 자료가 무궁무진하다. 넷째, 강해 설교를 하면 다루기 힘든 문제(Touchy Subjects)를 원만하게 다룰 수 있다. 여섯째, 강해 설교는 성도들을 말씀으로 바르게 먹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일곱째, 강해 설교는 교회 성장의 원동력이 된다. ”
로이드 존스는 내게는 설교하는 일이야말로 사람이 누릴 수 있는 가장 지고하고 가장 위대하고 가장 영광스러운 소명이다. 나는 오늘날 교회에 가장 긴급한 필요가 참된 설교라고 주저 없이 말하는데, 여기에다 다른 말을 덧붙인다면, 그것은 또한 이 세상의 가장 커다란 필요라는 것이다. 로이드 존스는 교회에서 말씀을 강해하는 사명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음을 알았다. 그는 모든 설교는 준비와 전달에 있어 강해 설교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평생 최고의 우선순위를 성경 강해에 두었다.
존 스토트는 로이드 존스와 같은 강해 설교의 전통을 따랐는데, 설교에 관해 그는 이렇게 언급하였다. 참된 기독교 설교(“ 성경적인 ” 혹은 “ 강해설교 ”를 의미하는데)는 오늘날 교회에 매우 희귀하다. 수많은 나라의 젊은이들이 그것을 요청하고 있으나 발견할 수 없다. 왜 그런가? 주된 이유는 그것의 중요성에 관한 확신의 결핍에 있다.
성경을 강해하는 것은 본문으로부터 거기 있는 것을 꺼내어 볼 수 있게 드러내는 것이다. 성경 강해 자는 닫힌 것처럼 보이는 것을 열고, 불분명한 것을 명백하게 하고, 얽힌 것을 풀고 단단히 묶은 것을 풀어 젖히는 것이다.
강해(exposition)의 반대는 (“ 부과 ”)(imposition)이다. 즉 본문에 없는 것을 집어넣는 것이다. 그러나 본문은 한 절일 수 있고, 한 문장일 수 있고, 한 단어일 수 있다. 혹은 한 문단일 수 있고, 한 장일 수 있고, 책 전체일 수 있다. 성경 적인 한, 본문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그 본문을 어떻게 다루느냐 하는 것이다.
1. 정교수 강의안 매주 다운 받아 강의 시간 참석 요.
2. 참고도서: 정교수 개인 불로그 로고스 아가페 주소:http://blog.daum.net/jnhok 참조
3. 점수: 출석 (60%) + Report(강의안 요약 제출) 10% + 설교 작성 및 전달(30%)=100
4. 정 목사 페이스 북 “로고스 아가폐”에 게시된 설교를 많이 구독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