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에 대한 이론/성경적 설교 작성법 54

하나님의 청 지기 (상)

1. 본문: 창 1:26-28 2. 본문 요약: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인간은 만물을 다스리는 하나님의 청지기로 부름을 받았다. 3. 주제: 청지기 4. 테마: 청지기의 의미 5. 명제: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인간은 하나님의 청지기로 부름을 받았다. (선언적 명제) 6. 목적: 인간은 하나님의 청지기임을 소개하며 어떻게 사는 것이 청지기로 사는 것인가를 도전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7. 질문제기: How? 어떻게 청지기로 살 것인가? 8. 중심단어: 방법들 9. 전환 문장: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인간은 하나님의 청지기로 부름을 받았다. 어떻게 사는 것이 청지기로 사는 것일까? 10. 제목: 하나님의 청지기 (상) 정글 지역에서 선교하시는 선교사님 한 분이 계셨는데, 그분은 정..

복 있는 사람의 선택

1. 본문: 시 1:1-6 2. 본문 요약: 이 세상에는 복 있는 의인과 어리석은 악인이 섞여 사는 데 그 삶의 결과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처럼 계절을 따라 열매를 맺는 시들지 않는 나무와 같거나 바람에 나는 겨와 같이 큰 차이가 난다. 3. 본문 주제: 복 있는 사람과 악인의 삶 4. 본문 테마: 복 있는 사람과 악인의 삶의 차이 5. 명제: 복 있는 사람은 예수 그리스도와의 교제를 먼저 선택한 결과이다. ( 선언적 명제) 6. 목적: 복 있는 사람의 선택이 무엇인지를 소개하여 복 있는 사람의 바른 선택을 하며 살도록 격려하기 위해서 7. 질문 제기: 복 있는 사람의 선택이 무엇이며 왜 그 선택이 복될까요? 8. 전환 문장: 복 있는 사람의 삶은 예수 그리스도와의 교제를 선택한 결과이다. 복 있는 사람의..

인간이 되신 하나님

1. 본문: 요 1:14-18 2. 본문 요약: 은혜와 진리는 독생 하신 하나님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나타나셨다. 3. 본문 주제: 성육신 4. 본문 테마: 예수 그리스도가 성육신으로 오신 이유 5. 명제: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의 몸을 입고 은혜와 진리를 계시하시기 위해서 오셨다. (선언적 명제) 6. 목적: 예수 그리스도가 성육신으로 오신 이유를 분명히 전달하여 구원의 은혜를 감사하며 누리게 하려고……. 7. 질문제기: 왜 예수 그리스도는 성육신의 방법으로 오셨을까요? 8. 전환 문장: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인간의 몸을 입고 은혜와 진리를 계시하시기 위해서 오셨다. 왜 예수 그리스도는 성육신의 방법으로 오셨을까요? 9. 대지 10. 제목 : 인간이 되신 하나님 하나님..

기도 응답의 조건

1. 본문: 요일 3:19-23 2. 본문 요약: 형제 사랑은 성공적인 기도 생활에 초석이 된다. 3. 본문 주제: 기도 응답 4. 본문 테마: 기도 응답의 조건 5. 명제: 형제 사랑은 성공적인 기도 응답의 초석이다.( 선언적 명제) 6. 목적: 기도 생활과 형제 사랑에 대한 상관관계를 소개하여 응답받는 기도 생활을 누리도록 돕기 위해서 7. 질문 제기: 무엇이 기도 응답의 조건이 되는 것입니까? 8. 전환 문장: 형제 사랑은 성공적인 기도 응답의 초석이다. 무엇이 기도 응답의 조건이 되는 것입니까? 9. 대지 10. 제목: 기도 응답의 조건 19절의 “ 이로써 ”라는 단어는 앞에서 다루었던 주제를 계속 다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먼저 사도는 형제 사랑이라는 주제는 우리가 19절에 “ 진리에 속한 ”것..

죄인의 무력감

본문 : 시 51:1-2 명제 : 참 회개한 그리스도인에게는 공통된 특징이 있다. 제목 : 죄인의 무력감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을 만나는 법을 아는 일입니다. 시 51편은 그 비결을 완벽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윗은 불륜과 살인과 기만과 그 밖의 여러 죄를 범했습니다. 그는 많은 죄를 짓고 한동안 꿈같은 나날을 보냈습니다. 그러다가 나단 선지자가 비유를 통해서 다윗의 죄악성을 폭로했습니다. 진실을 목도한 다윗은 자신이 죄인임을 자각했습니다. 시편 51편을 위대한 참회시라고 불립니다. 회개의 본질을 드러내기 때문입니다. 성령께서 자신의 영혼 가운데 역사하지 않으시면 어느 누구도 그리스도인이 될 수 없습니다. 물론 기독교적 체험을 그릇된 방식으로 획일화 하는 어리석음을 범해서는 안 됩니다. 예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