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의 역사 네째 시간 신학의 역사 네 번째 강의 시간(PP285-316) 사례연구 3.2 청의 교리 : 마르틴 루터와 트렌트 공의회 칭의 교리가 종교 개혁에 결정적으로 주요했다는 점은 폭넓은 동의를 얻고 있다. 독일의 대 개혁가 마르틴 루터의 이해와 트렌트 공의회의 이해가 그것이다. “칭의”라는 말과 “의롭게 하다’라는 동사.. 역사 신학/교리사 2009.10.28
신학의 역사 셋째 시간 강의안 셋째 강의 시간( pp 249-284) 제 3장 종교 개혁과 그 이후 (1500-1750) 서구 기독교 신학의 중요한 새 시대가 16세기에 열렸다. 가장 중요한 변화는 종교개혁, 즉 서구 교회를 신앙체계, 도덕성 및 구조에 있어 더 성경적 토대로 돌리려는 운동이었다. 그 개혁으로 처음 유럽에서 한 무리의 개신 교회가 형성되.. 역사 신학/교리사 2009.10.14
신학의 역사 둘째 시간 강의안 신학의 역사 강의 둘째 강의 시간(pp 151-197) 제 2장 중세와 르네상스(약 500-1500), 중세의 탄생, 로마의 멸망은 기독교 신학의 발전에 심대한 영향을 끼셨다. 로마 제국의 북쪽 전선은 야만인들의 공격에 직면하자 404년 무너지고 말았다. 로마 제국의 광대한 지역은 이제 프랑크족, 고트족, 그리고 반달족의.. 역사 신학/교리사 2009.09.23
신약 역사 첫째 강의안 신학의 역사 첫째 강의 시간(pp41-79) 1장 교부 시대(약 100-451) 1) 교부 시대 개관 교부 시대는 기독교 사상사 중 가장 자극적이고 창의적인 시대였다. 기독교의 본류는(성공회, 동방 정교회, 루터 교회, 개신교 및 가톨릭교회) 교부 시대를 기독교 교리의 발전상 결정적 이정표로 삼고 있다. 17세기 성공회 .. 역사 신학/교리사 2009.09.07
성경론 성경론 강의: 정노훈 목사 1,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성경 관 그리스도와 사도들은 자주 (구약)에 호소하면서 구약을 정확 무오한 권위서로 인정했다. 그들은 성경을 하나님의 계획의 표현으로 보고 (성경)에 대한 호소를 모든 변론의 종결로 삼았다. 1) 그리스도의 성경 관 예수님은 요 10:34에서 “성경은.. 역사 신학/교리사 2009.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