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에 대한 이론/그리스도 중심적인 네러티브 설교 52

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

1. 본문: 롬 12:17-212. 명제: 복음은 이웃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게 한다. (선언적 명제)3. 제목: 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 갈등: 하나님의 자비 지난주 말씀을 요약하며 시작하겠습니다. 롬 12장에서 마지막 16장까지는 복음을 토대로 예수님을 믿어 은혜로 의롭다 함을 받은 즉 구원받은 그리스도인의 올바른 삶을 제시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온전한 삶을 살기 위해서 먼저 순종하는 동기부터 살피봐야 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동기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요? 1절'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그리스도인으로서 살아갈 충분한 이유는 은혜에 대한 감사뿐입니다. 또한 복음은 이웃들과 사랑의 관계를 맺게 요구합니다. 9절에는 세 가지 사랑에 대한 명령이 나옵니다. "사랑에는 거짓이 없나..

행복한 삶을 위한 유일한 길

1. 본문: 시 1:1-22. 명제: 행복한 삶을 위한 유일한 길은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는 것이어야 한다. (명령적 명제)3. 제목: 행복한 삶을 위한 유일한 길 갈등: 성경을 보라시편 1편은 성경 전체의 메시지에 대한 훌륭한 서론이자 요약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성경은 하나의 메시지만 담고 있습니다. 성경은 그 메시지를 아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지만 내용은 단 하나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우리의 구원을 위해 하신 일, 그리고 인간과의 관계입니다. 이 주제는 시편 전체의 큰 주제이기 때문에, 특별히 시편의 첫 번째 시에서 그 내용이 응축되어 나타납니다. 그래서 여러분에게 시편 1편을 주목해 보시길 청하는 것입니다. 누군가는 이렇게 말할 것입니다. 하지만 왜 성경을 봐야 합니까? 지금은 과학의 시대입..

두분의 대언자

1. 본문: 요 14: 16-272. 명제: 두 분의 대언자를 의지하여 승리할 수 있습니다. (가능성의 명제)3. 제목: 두 분의 대언자 1. 갈등: 교양있고 괜찮은 사람인 나에게 굳이 대언자가 필요한가?지난 3년 동안 예수님의 제자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직접 대면하며 생활했습니다. 예수님과 함께 살고 배우고 대화하고 기도했습니다. 그런데 이제 그분이 요 13:33"작은 자들아, 내가 아직 잠시 너희와 함께 있겠노라. 너희는 내가 가는 곳에 올 수 없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이에 제자들은 두려웠습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이 어디로 가시든 자기도 목숨을 버리기까지 따라가겠다고 공언합니다. 모든 제자들의 반응은 전부 영적으로 무지하기 짝이 없습니다. 베드로는 자신을 전혀 몰랐습니다. 예수님은 그에게 요 13:38..

사탄아 물러가라/ 궁극의 적

1. 본문: 마 3:13-4:112. 명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우리의 궁극적 원수인 사탄과의 전쟁에서 능히 이길 수 있다. (가능성의 명제)3. 제목: 사탄아 물러가라/ 궁극의 적 갈등: 요즘 세상에서 사탄의 존재는 너무 터무니없지 않습니까?성경은 예수님과 평범한 사람들의 만남을 살펴보면 그들의 삶이 영원히 달라졌음을 보여 줍니다. 그렇다면 오늘 우리는 어떻게 그리스도를 만날 수 있을까요? 우리의 삶이 영원히 변화되려면 그분을 구주로 만나야 하고, 그러려면 그분이 우리에게 해 주신 일을 보고 알아야 합니다.  2. 갈등 심화: 세상을 바꾼 두 사건세상을 바꾼 두 사건이 있습니다. 우선 예수님의 공생애가 어떻게 시작되는지부터 보아야 합니다. 역사상 세상을 뒤바꾸어 놓기 위해 예수님을 준비시킨 두 사..

영적 예배

본문: 롬 12:1-82. 명제: 복음은 교회 내에서 새로운 관계를 맺게 합니다. (선언적 명제)3. 제목: 영적 예배/산 예배 갈등 심화: 지난 시간 말씀을 요약하며 시작하겠습니다. 롬 12장은 새로운 단락이 시작되는 전환점입니다. 바울은 “그러므로”로 그 서막을 엽니다. 바울은 롬 1-11장까지 설명한 복음을 토대로 예수님을 믿어 은혜로 의롭다 함을 받은 그리스도인의 올바른 삶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12장 1-2절은 그리스도인의 온전한 삶을 가장 잘 요약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의 온전한 삶을 살기 위해서 먼저 순종하는 동기부터 살펴봐야 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동기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요? 복음은 그리스도의 은혜로 말미암아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는 것입니다. 그리스도..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1. 본문: 롬 12:1-82. 명제: 복음은 교회 내에서 새로운 관계를 맺게 하신다. (가능성의 명제)3. 제목: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갈등: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롬 12장은 새로운 단락이 시작되는 전환점입니다. 바울은 “그러므로”로 그 서막을 엽니다. 그는 지금까지 설명한 복음을 토대로 예수님을 믿어 은혜로 의롭다 함을 받은 그리스도인의 올바른 삶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12장 1-2절은 그리스도인의 온전한 삶을 가장 잘 요약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의 온전한 삶을 살기 위해서 먼저 순종하는 동기부터 살피봐야 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동기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1절은 가장 중요한 동기를 두 단어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단어인 "그러므로"는 바울이..

온 이스라엘이 구원을 받으리라

1. 본문: 롬 11:23-362. 명제: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구원하실 것이다. (예언적 명제)3. 제목: 온 이스라엘이 구원을 받으리라 1. 갈등: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여지난주의 말씀을 요약하면서 시작하겠습니다. 하나님은 믿음을 통해 구원하실 사람들을 택하십니다. 하나님과 복음을 거부하는 것은 우리 자신의 책임입니다. 따라서 유대인들이 그리스도를 믿지 않는 것은 자신들의 책임입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완전히 포기하셨는가? 아닙니다! 바울은 곧바로 그렇지 않다고 힘주어 대답하며 로마서 11장에서 그 이유를 상세히 밝혀 줍니다. 요컨대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버리지 않으셨다. 왜냐하면, 모든 이스라엘이 믿지 않은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바울은 롬 11장에서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버리지 ..

접붙여진 가지

1. 본문: 롬 11:1-272. 명제: 그리스도인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이 있다고 결코 오만해서는 안 됩니다. (평가적 명제) 3. 제목: 접붙여진 가지 갈등: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여하나님은 믿음을 통해 구원하실 사람들을 택하십니다. 하나님과 복음을 거부하는 것은 우리 자신의 책임입니다. 따라서 유대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않는 것은 자신들의 책임입니다. 또한 유대인들은 하나님이 그들을 택하지 않으셨기 때문에 믿을 수 없었습니다. 이것이 로마서 9-10장의 가르침입니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1절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버리셨느냐?" 하나님이 이스라엘 민족을 버리셨는가? 아브라함과 다윗뿐 아니라 이스라엘 역사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에게 하신 약속들..

그리 아니하실지라도

1. 본문: 단 3: 1-30 2. 명제: 승리케 하시는 분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선언적 명제) 3. 제목: 그리 아니하실지라도 1. 갈등: 느브갓네살 왕이 금으로 신상을 만들었으니(1절) BC 7세기 고대 중동 지방을 제패한 바벨론 제국이, 구약시대 하나님의 백성이었던 유대 나라마저 정복하여 속국으로 삼았습니다. 43년간이나 통치한 느브갓네살 왕은 자신의 통치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우상화 작업을 벌였습니다. 황금으로 10층 높이의 거대한 왕의 모양을 한 신상을 만들어, 만조백관과 백성들에게 절을 하게 함으로써, 신하들의 충성심을 확인하는 것과 동시에 자신을 마치 신처럼 섬기도록 하는 법을 만들었습니다. 어기는 자는 가차 없이 용광로 속에 집에 넣어 죽이는 무서운 법이었습니다. 옛날 왕들은 자신..

우리 구주 그리스도

1. 본문: 딤후 1:9-14 2. 명제: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 인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신 유일한 사람이요, 하나님이십니다. (선언적 명제) 3. 제목: 우리 구주 그리스도 갈등 이 세상은 갈수록 악하고, 추하고, 절망적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인간의 절망적인 상황에 대한 유일한 해답은 구원입니다. 믿음은 하나님께서 주시는 선물입니다. 믿음은 인간의 이성이 아닙니다. 바울 사도는 딤후 1:9에서“우리를 구원하사 거룩하신 소명으로 부르심은 우리의 행위대로 하심이 아니요 오직 자기의 뜻과 영원 전부터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에게 주신 은혜대로 하심이라. 이제는 나타났으니” 바로 이것입니다! 현대 세계가 지금 상태가 된 것은 우리의 어리석은 조상들 때문입니다. 19세기 중반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기독교 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