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에 대한 이론/그리스도 중심적인 네러티브 설교 52

중생

1. 본문: 딛 3:1-8 2. 명제: 우리를 거듭나게 하는 것은 우리의 선행도 아니며 성례도 아니며, 하나님의 자비이시다. 선언적 명제 3. 제목: 씻음과 새롭게 하심으로 거듭난다./ 중생/ 거듭남 갈등: 거듭남이란 무엇인가? 성경에서 중생이라는 단어는 딛 3:5"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시되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으로 하셨나니”에 나옵니다. 중생이란 말은 예수님이 요 3:5절에서 “사람이 물과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느니라.” 여기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 거듭난다는 말과 같은 의미입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마 19: 28절에서 “세상이 새롭게 되어 인자가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을 때에 나를 따르는 너희도 열두 보좌에 앉아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심판하리라.“..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오?

본문: 롬 8: 30-39 명제: 어떤 피조물도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을 수가 없다. 선언적 명제 3. 제목: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오? 1, 갈등: 예수님의 형상을 닮아감 26-30절에서 바울은 우리 그리스도인에게 있는 두 가지 확신의 토대를 말합니다. 첫 번째는 우리가 기도할 말이 없을 때 성령이 하시는 일을 가리키고, 두 번째는 우리 삶의 모든 상황 가운데 절대주권을 지닌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가리킵니다. 그리고 이 확신은 오늘 본문 31-39절에서 바울이 보여 주는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오?...?... 누가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끊으리오 ““ 로 끝을 맺는 뜨거운 질의응답의 기초가 됩니다. 이 단락은 8장 17-18절에서 암시된 다음과 같은 문제 제기에 대..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하나님

1. 본문: 롬 8: 26-30 2. 명제: 그리스도인은 어떤 고난 가운데서도 확신을 가지고 살 수 있다. 가능성의 명제 3. 제목: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하나님 1. 갈등: 그리스도인의 확신의 토대 오늘 본문 26-30절에서 바울은 그리스도인이 가진 두 가지 확신의 토대를 말합니다. 첫 번째는 우리가 기도할 말이 없을 때 성령이 하시는 일을 가리키고, 두 번째는 우리 삶의 모든 상황 가운데 절대주권을 지닌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가리킵니다. 여기에다 18절의 ‘장차 우리에게 임할 영광’을 포함하여 세 가지 확신의 토대, 장차 우리에게 니타날 영광 곧 미래의 소망, 성령의 도우심, 그리고 모든 것 가운데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손길은 31-39절에서 바울이 보여 주는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오? “?“ 로 시..

사랑과 진노의 하나님

본문: 요 3:16-18 명제: 하나님은 거룩하시며 자비로운 하나님이시다. 선언적 명제 3. 제목: 사랑과 진노의 하나님 갈등: 하나님은 공의의 하나님 사랑의 하나님 중 어떤 분이신가?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용서의 근거인 이유는, 십자가 덕분에 하나님이 그분의 공의를 타협하지 않고도 우리를 용서하실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에게도 이 십자가가 가해자를 용서할 동기와 모델이 되기 때문입니다. 성난 피해자인 우리가 어떻게 용서할 수 있는지를 깨달으려면, 최고의 피해자이신 하나님이 어떻게 용서하셨는지를 봐야 합니다. 그분이 용서하시는 방식이 바로 십자가입니다. 구약성경에서 용서를 구하는 수많은 기도는 풀리지 않는 큰 의문을 남겨 놓았습니다. 알다시피 하나님은 거룩하고 공의 즉 정의로우신 분인데, 도대체 어떻게 ..

용서의 원천

1. 본문 시 130:1-8 2. 명제: 예수 그리스도의 피가 용서의 근거입니다. 선언적 명제 3. 제목: 용서의 원천 갈등: 용서는 신 구약 성경의 핵심 개념? 팀 겜벨 목사님의 ”용서를 배우다 “라는“ 글을 편집하여 올립니다. 용서하기가 쉬습니까? 아니면 어렵습니까? 사실 용서는 기독교의 핵심 메시지이며, 성경 전체에 배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버드대학의 성경학자 크리스터 '스텐달은 ”용서에 해당하는 가장 보편적인 헬라어 '아시스'와 '아피에미'가 바울 서신에 유난히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용서를 뜻하는 단어 중 하나가 본문에 없다고 해서 용서 개념이 부재하다는 뜻은 아닙니다. 단어가 쓰인 횟수와 관계없이 용서라는 개념은 성경 신구약 전체의 의미와 그리스도인의 신앙에서 핵심에 해당합니다..

하나님 자녀의 특권

본문: 롬 8:14-25 2. 명제: 하나님의 자녀로 살아가라. 명령적 명제 3. 제목: 하나님 자녀의 특권 갈등: 누가 하나님의 자녀인가? 그리스도인이 어떤 사람이며, 그것이 왜 특권인지 알려면 하나님의 자녀로 입양되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해야 합니다. 14절 ”곧 하나님의 영으로 인도함을 받는 사람은 곧 하나님의 아들이라" 우리가 하나님의 친아들이자 친딸이라는 개념은 그리스도인으로서 살아가는 원동력이 됩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은 창조의 절정이자 구속의 목적입니다, 무엇이 우리를 하나님의 자녀로 만듭니까? 로마서 8장 14절에서 하나님의 자녀는 하나님의 영을 소유했다고 명확히 말합니다. "하나님의 영으로 인도함을 받는 사람은 곧 하나님의 아들이라." “성령을 가진 모든 사람들은 곧..

성령으로 죄와 싸우라

1. 본문: 롬 8:1-13 2. 명제: 성령으로 죄와 싸워 이길 수 있다. 가능성의 명제 3. 제목: 성령으로 죄와 싸우라 1. 갈등: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팀 켐벨 목사님의 글을 편집하여 올립니다. 1절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여기 정죄함이 없나니라는 이 두 단어는 그리스도인이 된 우리의 신분을 말해 줍니다. “정죄함이 없나니”는 법률 용어로 갚아야 할 빚이나 받아야 할 형벌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수 안에 있는 사람은 하나님으로부터 어떠한 정죄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놀라운 사실입니다! 그분은 우리 안에서 어떤 흠결도 찾지 않으십니다. 이것을 강조하는 이유는 단지 잠시 동안만 그리스도인들에게 정죄함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1. 본문: 사 40: 27-31 2. 본문 요약: 자신들에게 무관심하다고 절망하며 불평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여호와 하나님은 현재에도 도우시며 특별히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를 새롭게 하시는 구원자이시라고 말씀하셨다. 3. 주제: 여호와 하나님을 앙망하는 자 4. 테마: 여호와 하나님을 앙망하는 자가 누릴 축복 5. 명제: 여호와 하나님을 앙망하는 자는 구원을 얻게 될 것입니다. 예언적 명제 6. 목적: 여호와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를 소개하여 어떤 역경 가운데서도 여호와 하나님을 앙망함으로 승리하는 삶을 살도록 돕기 위해서....... 7. 질문제기: 여호와 하나님은 어떤 분이십니까? 8. 중심 단어: 어떤 분 9. 전환 문장: 여호와 하나님을 앙망하는 자는 구원을 얻게 될 것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을 ..

왕이신 아기 예수

1. 본문: 마 2 : 1-12 2. 본문 요약: 동방 박사들이 별을 따라 유대인의 왕으로 오신 분을 경배하기 위해 왔다고 전하자, 헤롯왕과 온 예루살렘이 소동했다. 헤롯왕이 박사들을 불러 별에 대해 상세히 묻고서는, 가서 아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자신도 경배하기 위해 가기 위해 알려 달라고 요청했으나, 이들이 아기 예수께 경배하고 꿈의 지시대로, 헤롯왕에게 알리지 아니하고, 자기 고국으로 돌아갔다. 3. 주제: 왕이신 아기 예수님 맞이하는 사람들 4. 테마: 왕이신 아기 예수님 맞이하는 사람들의 자세 5. 명제: 왕이신 아기 예수님을 맞이하는 사람들의 자세는 다양하다. 평가적명제 6. 목적: 왕이신 주님께 진정 경배드리는 신앙이 되도록 격려하기 위해서 7. 질문제기: 왕이신 아기 예수님을 맞이하는..

주 밖에 내가 사모할 이 없나이다.

1. 본문: 시 73 : 25-28 2. 명제: 그리스도의 관점으로 보아야 고난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가능성의 명제 3. 제목: 주 밖에 내가 사모할 이 없나이다. 4: 본문 구성 요약. A. 하나님은 이스라엘에 선을 베푸시며 그중에서도 마음이 깨끗한 자에게 선을 베푸시는구나. (1절) B. 그러나 나는 발을 잘못 디뎌 거의 미끄러질 뻔하였으니 (2절) C. 이것은 내가 악인들이 잘 되는 것을 보고 교만한 자들을 질투하였음이라. (3절) D. 그들이 일평생 아무런 고통도 없이 건강하게 지내며 (4절) E. 다른 사람들과 같이 어려움을 당하거나 병으로 고생하는 일도 없으니 (5절) F. 교만을 목걸이로 삼고 폭력을 옷으로 삼는구나. (6절) G. 그들의 마음은 악을 토하고 그들의 탐욕은 하늘 높은 줄..